태초에 컴퓨터가 있었다....
찐 물리적 컴퓨터가 내 손 안에 있어야 컴퓨터를 쓸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기기 하나에서 여러 개의 PC를 쓸 수 있는 시대가 왔다
클라우드 덕분이다!
Windows 365를 배우면서 이게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는지 전혀 이해가 안 되었는데
그림을 보니 이해가 잘 된다
나에게 도움을 준 일본작가 선생님 땡큐 쏘 마치!
그림으로 이해하는 서버 구조와 기술 - 예스24
쉽고 재미있게 시작하는 서버 구조와 기술!우리가 당연하게 하고 있는 모든 온라인 활동 뒤에는 서버나 네트워크 같은 정보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인프라에 오류가 발생하면 우리가 사용하고
www.yes24.com
아래는 책의 내용을 참고하여 GPT 선생님과 함께 공부한 내용이다.
■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작동되고, 리소스는 Cloud에서 가져온다
■ 사용자가 PC에 할당하려는 OS와 미들웨어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 OS, 클라이언트 OS 다 가능)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에 해당!
■ 참고) 클라이언트 OS와 애플리케이션까지 제공하여 사용자가 PC를 바로 사용하기만 하면 되는 서비스를 DaaS(Desktop as a Service) 라고 한다!
■ 최종적으로 엔드포인트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상 컴퓨터를 VM이라고 부른다
간단히 말해 컴퓨터 안의 컴퓨터, PC 안의 PC!

Microsoft 제품군으로 알아보자~!
과거에는 Cloud 기반이 아니라 물리적 PC 위에 PC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VM을 설치하는 리소스를 그대로 사용했다
예를 들어 내 PC에다가 Hyper-V 솔루션을 통해 VM을 생성한다면
그 VM에서 사용하는 메모리는 내 PC에서 끌어다 쓰는 것!
하지만 이제는 대-클라우드-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에
일정 비용을 내고 데이터 센터의 서버 리소스를 가져오면 된다
고것이 바로 클라우드 서비스 ~
Azure VM의 리소스를 가져와서 제공하고 있는 MS의 솔루션이 몇 가지 있다
그 중 IaaS에 속하는 AVD과 DaaS에 속하는 Windows 365가 있는데 차이는 아래와 같다!
AVD는 IT 부서에서 개발, 테스트 용으로 많이 쓰는 것 같고
Windows 365는 찐 일반 직장인 사용자들에게 주는 용으로 기업에서 활용하는 것 같다
대리님이 Windows 365 PC 하나 주셔서 화면을 보여드리면 다음과 같아요
Windows App을 키면 내가 사용할 수 있는 PC를 볼 수 있다
짠 제가 글을 쓰고 있는 티스토리 PC 위에 또 다른 PC를 올려놓았죠
가상 컴퓨터란 이런 느낌입니다
결론은....
세상 만상 기술은 놀랍다 이왜진?? 어떻게 가능?? 나 빼고 다 쏘 지니어스 하구나
이상 끝
'자기계발 > IT 기초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기초 지식 | DMZ가 뭐예요? (0) | 2025.01.07 |
---|---|
IT 기초 지식 | IP 서브넷팅 (3) | 2024.12.26 |
2025년 | 정보보안/네트워크 공부 로드맵 (0) | 2024.12.24 |